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간편한요리
- Tailwind Css
- 1인 개발
- 호주
- 리엑트
- 자바
- 수익 자동화
- MCP
- 포트포워딩
- 호주워킹홀리데이
- Firebase
- 수익화
- spring 세팅
- 1인 개발자
- 개발자
- 리엑트 라우터
- mcp 서버
- java
- SPRING 회원 관리 기능
- 자동화 수익
- 웹개발자
- 프론트엔드
- node js
- Next.js
- 1인개발자
- 간단한 요리
- 일러스트
- 개발자 수익화
- Flutter
- Spring
Archives
- Today
- Total
IT 세상에서 살아남기
SPRING(7) GET방식과 POST방식 본문
반응형
1. SPRING 기본 GET 통신 방식과 POST 통신 방식
GET 방식 POST 방식
-서블릿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데이터가 URL 뒤에 name=value 형태로 전송됩니다. -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'&'로 구분해서 전송됩니다. - 보안에 취약합니다. -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는 최대 255자 입니다. - 웹 브라우저에 직접 입력해서 전송할 수도 있습니다. |
- 서블릿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TCP/IP 프로토콜 데이터의 body 영역에 숨겨진 채 전송됩니다. - 보안에 유리합니다. - 전송 데이터 용량이 무제한 입니다. - 전송 시 서블릿에서는 또다시 가져오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처리 속도가 GET 방식보다 느립니다. |
GET 방식 구현
1. <a>태그를 이용한 GET 방식
웹 상테서는 이런 클릭할 수 있는 페이지가 보입니다.
get 방식을 controller에서 위치를 잡아주고 return 값으로 보내줄 jsp의 위치를 적어주면
jsp페이지로 보내줍니다.
헤당하는 경로로 위치를 잡아주고 그 위치를 웹상에 띄어주게 됩니다.
2. URL을 통한 접속 방식
url 경로로 적어서 enter를 적어주면 GET방식이기 때문에 그 해당 jsp페이지로 출력하게 됩니다.
POST 방식 구현
<form>태그를 이용한 POST 통신 방식
이렇게 POST 방식으로 구현한다면 url로는 접근 할 수 없습니다.
반응형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(9) 다음 주소 API (0) | 2022.01.24 |
---|---|
SPRING(8) 비밀번호 암호화 (0) | 2022.01.24 |
SPRING(5) 데이터베이스 연동하기(오라클 oracle) (0) | 2022.01.23 |
SPRING(4) 프로잭트 만들기 (0) | 2022.01.23 |
SPRING(3) porm.xml, web.xml 설정 하기 (0) | 2022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