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격증/sqlp ( sql 전문과 과정 )

식별자와 DB 스키마 구조 완벽 정리 : SQL 자격증·정보처리기사 대비

by Alan_Kang 2025. 6. 18.
반응형

✅ 식별자(Identifier)란?

식별자란, 각 엔터티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속성입니다. RDB에서는 이를 기본 키(Primary Key)라고 합니다.

 

  👉 데이터 모델링 기본 정보 엔티티 인스턴스 등 긍금하다면 (클릭)

 

ERD 핵심 개념 쉽게 이해하기 – 엔터티, 인스턴스, 속성 완전 정리

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를 작성하거나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4가지 개념이 있습니다:엔터티(Entity): 테이블의 개념, 관리 대상인스턴스(Instance): 테이블의 행(Row), 실제 데이

qkqtodn1.tistory.com

 

 

📌 식별자의 주요 역할

  • 각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함
  • 중복을 방지하고,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
  • 다른 테이블에서 외래 키(Foreign Key)로 참조 가능

🧩 식별자 종류

종류 설명 예시
단일 식별자 단 하나의 속성만으로 식별 가능 주민등록번호, 차량번호, 학번
복합 식별자 두 개 이상의 속성 조합으로 구별 학번 + 학기, 고객ID + 주문일자
대체 식별자 기존 키가 아닌, 다른 속성으로도 유일 구분 고객번호 대신 이메일 주소, 전화번호 등

📎 예시로 이해하기

  • 고객 테이블: 고객ID가 단일 식별자
  • 주문 테이블: 고객ID + 주문일자로 하나의 주문을 구분 → 복합 식별자
  • 사용자 테이블: 기본키는 user_id지만, 이메일 주소를 유일하게 사용하고 싶을 때 → 대체 식별자

 

✅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 3단계

데이터베이스 구조는 사용자부터 시스템까지 3단계 관점으로 나뉩니다. 이를 이해하면, 실제 DB 설계와 운영을 더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구분 시야 담당 주체 주요 내용
외부 스키마 사용자 관점 최종 사용자 필요한 데이터만 보이도록 구성한 뷰(View)
개념 스키마 전체 논리적 설계 DB 설계자(DBA) 엔터티, 관계, 속성, 제약조건 등 전체 구조를 정의
내부 스키마 물리적 저장 관점 DBMS 데이터 저장 방식, 인덱스, 파티셔닝 등 성능 최적화 구성

📘 각 스키마의 비유

  • 외부 스키마: 카페의 메뉴판 – 고객이 볼 수 있는 정보만 표시
  • 개념 스키마: 주방 전체 설계도 – 어떤 재료로 어떤 요리를 만드는지 전체 흐름
  • 내부 스키마: 주방 내부 동선, 냉장고 위치 등 – 실제 운영 방식

 

✅ 학습 요약

  • 식별자는 데이터의 고유성 유지와 관계 설정에 핵심 역할
  • 스키마는 외부→개념→내부 3단계로 구성되어, 사용자부터 시스템까지 데이터를 보는 시야가 다름
  • 식별자는 주로 기본키(PK)로 활용되며, 대체 식별자도 함께 고려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