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라즈베리파이 내부 IP 고정 (DHCP 예약)
- 공유기 관리페이지 접속
- 브라우저에서
192.168.0.1
(또는 공유기 기본 게이트웨이) 입력 -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
- 브라우저에서
- DHCP 서버 설정 → IP/MAC 바인딩 (예약)
- MAC 주소: 라즈베리파이의
eth0
또는wlan0
MAC - 예약 IP:
192.168.0.16
- 설명(선택): “라즈베리파이 SSH” 등
- MAC 주소: 라즈베리파이의
→ 이후 Pi가 켜질 때마다 192.168.0.16 주소를 항상 할당받습니다.
2. 외부 포트포워딩 설정 (ipTIME 기준)
- NAT/라우터 관리 → 공유기 포트포워드 설정
- 새 규칙 추가
- 규칙 이름:
라즈베리파이 SSH
- 프로토콜: TCP
- 외부 포트: 2222
- 내부 IP: 192.168.0.16
- 내부 포트: 22
- 규칙 이름:
|규칙 번호|이름|프로토콜|외부 포트|내부 IP|내부 포트|
|---|---|---|---|---|---|
|001|라즈베리파이 SSH|TCP|2222|192.168.0.16|22|
- 적용/저장 버튼 클릭
이제 인터넷 상에서 ssh -p 2222 사용자명@공인IP
로 접속하면,
공유기가 2222→192.168.0.16:22 로 자동 전달해 줍니다.
3. 라즈베리파이 방화벽 설정 확인
Pi 내부에서 ufw 혹은 iptables를 사용 중이라면,
SSH(22/TCP)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세요.
# ufw 사용 시
sudo ufw allow 22/tcp
sudo ufw status
만약 내부 SSH 포트를 22가 아닌 다른 포트로 변경했다면,
방화벽 허용 규칙도 그 포트 번호로 맞춰주셔야 합니다.
4. 접속 테스트
- 로컬(내부망)에서 테스트
ssh 사용자명@192.168.0.16
- 외부(모바일 데이터 or VPN 해제)에서 테스트
- 연결 성공 시, 프롬프트가 Pi로 들어오면 설정 완료!
ssh -p 2222 사용자명@<공인 IP 또는 DDNS 도메인>
5. 추가 고려사항
- DDNS 사용: 가정용 공유기 WAN IP가 자주 바뀐다면,
ipTIME DDNS 기능을 켜서xxxx.iptime.org
형태의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편이 편리합니다. - 보안 강화
- 외부 포트를 2222처럼 비표준 포트로 변경 → 스캔 위험 감소
PermitRootLogin no
,PasswordAuthentication no
등/etc/ssh/sshd_config
설정 강화- 공개키(SSH Key) 인증만 허용
반응형
'1인개발자에서 살아남는법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북 사용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단축키 총정리 (0) | 2025.05.09 |
---|---|
Cursor Talk to Figma MCP 연동 가이드 (0) | 2025.05.08 |
실시간 외부 API를 연동하는 AI 서버 구축법 (MCP + Node.js 실전 예제) (2) | 2025.04.30 |
Node.js로 MCP 서버 구축하는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4.29 |
RSS란 무엇인가?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(0) | 2025.04.26 |